무량사
- 주지스님 :
- 홈페이지 :
- 전화번호 : 041-836-5066
- 팩스 : 충남 부여군 만수리 소재
- 주소 : 323 892 충남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116
- 오시는길 :
본문
무량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 마곡사 말사이다. 무량사는 신라 문무왕 때 범일 국사가 창건했으며, 신라 말 무염 선사께서 중수하고 고려 고종(1213~1259) 때 중창을 하여 요사체 30여 동과 산내 12개의 부속 암자가 있었습니다.
그 후 임진왜란 때 왜군에 의해 불타버리고 조선 인조(1623~1649) 때 대중창을 하였으며, 1872년 원열화상이 중창을 하여 오늘에 이르게 됐습니다.
무량사는 국내에서 제일 가는 아미타 기도 도량으로 극락전에 봉안되어 있는 아미타여래좌상과 좌우 협시불인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은 동양 최대 규모로서 거대한 전각의 내부 공간을 감각적으로 꽉 메우고 있습니다.
문화재로는 국보급 보물 5점과 충남 지방문화재 8점 등 우리의 귀중한 불교 유산인 많은 문화재가 있습니다. 그중 생육신 중 한 분인 매월당 김시습 선생의 초상화와 부도탑은 많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습니다.
이와같이 백제 불교의 혼이 담긴 무량사는 천년 고찰의 역사와 고풍스러움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국내에서 보기 드문 고찰입니다.
그 후 임진왜란 때 왜군에 의해 불타버리고 조선 인조(1623~1649) 때 대중창을 하였으며, 1872년 원열화상이 중창을 하여 오늘에 이르게 됐습니다.
무량사는 국내에서 제일 가는 아미타 기도 도량으로 극락전에 봉안되어 있는 아미타여래좌상과 좌우 협시불인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은 동양 최대 규모로서 거대한 전각의 내부 공간을 감각적으로 꽉 메우고 있습니다.
문화재로는 국보급 보물 5점과 충남 지방문화재 8점 등 우리의 귀중한 불교 유산인 많은 문화재가 있습니다. 그중 생육신 중 한 분인 매월당 김시습 선생의 초상화와 부도탑은 많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습니다.
이와같이 백제 불교의 혼이 담긴 무량사는 천년 고찰의 역사와 고풍스러움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국내에서 보기 드문 고찰입니다.